본문 바로가기
투자정보

100세 시대 포트폴리오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

by UNUNIVER 2022. 9. 23.
728x90
반응형

 

우리는 100세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취업이 힘들었고, 출산이 힘들었고, 결혼이 힘들었으며 이제는 연애도 힘든 세상이 왔습니다. 

 

 

실제 설문조사에서 20대 남자 10명 중 연애하는 사람의 수는 2명으로 2019년보다 2020년이 더 낮았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고령화는 가속화 되고 있고,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이상 표는 노인복지를 위한 쪽으로 더 많이 쏠릴 것이며 이로 인해 청년들이 받을 복지혜택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우리의 삶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힘들어도 살아 가고 싶은 게 사람이고 살기 싫어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 다시 한번 힘내서 살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럴 때 우리는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요? 

 

2020년 주식열풍이 불때 한 곳에서는 다른 열풍이 불고 있었습니다. 바로 코인 열풍, 수많은 20대 30대 청년들 심지어는 10대까지도 뛰어들어 모두가 코인에 빠져있었습니다. 하지만 금융권의 통제를 받지 않고 무분별한 불법행위를 위한 탈세 목적으로 존재하는 코인은 한순간에 거품처럼 사라져 버릴 위험한 자산임에는 분명했습니다.

 

이제 막 사회에 발들인 20대나 30대에게는 너무나 큰 행복으로 다가왔을 겁니다. 1년만에 10배 상승한 비트코인은 그야말로 그들에게는 신화였습니다. 그렇지만 우리에게 인생은 너무나 깁니다. 여기에서 수십억 수백억을 벌어간 사람도 있겠지만 1년이 지날동안 사회초년생이었던 우리 20대 30대들은 겨우 몇백만 원, 몇천만 원밖에 안 되는 코인 지갑을 보며 대출을 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리고 2021년 2022년 코인의 가격이 하락하고 몇몇 코인들은 세상에서 아예 사라지면서 코인을 하려고 대출받았던 사회초년생들은 졸지에 파산을 맞이하게 됩니다. 본인의 선택이었다고는 하나 너무 가혹했죠.

 

이 시장에 참여했던 안했던 우리는 이를 반면교사 삼아서 다시는 실패를 맛보아서는 안됩니다.

포트폴리오는 안전하고 수익률이 나오며 내 나이에 맞게 상황에 맞게 만들어 가는 것이 맞습니다. 저는 20대 후반 이제 30대 초반으로 접어드는 나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장형 포트폴리오를 가져갈 것입니다.

 

하지만 본인의 나이가 50대 60대가 되었다면 변동성이 큰 성장형 포트폴리오보다는 안정형 포트폴리오를 선호하는 것이 본인에게 이로울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만 65세가 되면 국민연금이 나오기 때문에 그동안 저축해놓았던 자산을 안정형 포트폴리오로 굴리면서 배당을 받고 국민연금을 받으며 생활한다면 노후가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제가 20대 ~ 40대에게 추천하는 성장형 자산은 주식은 50% 채권 20% 대체투자자산 20% 현금성 자산 10%입니다.

제 구성종목을 말씀드리면

 

주식 50

TIGER 미국 S&P 500 // 30%

KOSEF 200TR // 20%

 

채권 35

KODEX 미국채 울트라 30년 선물 // 20%

KOSEF 국고채 10년 // 15%

 

대체자산 15

TIGER 골드선물 // 7.5%

TIGER 미국 MSCI리츠(합성 H) // 7.5%

 

이렇게 투자하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현금 10%를 들고 있지 말고 국채에 투자하자는 마음에서 국채의 비율로 편입시키고 골드와 부동산은 주식과 같이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위해서 5% 낮춰서 잡았습니다. 수익률은 시간이 지나고 비교해봐야 알겠지만 포트폴리오 비중만 비슷하게 가져가신다면 어떻게 투자해도 결과는 큰 차이가 없을 겁니다.

 

 

728x90
반응형